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시청자 지원

  • Home
  • 방송참여
  • 방송참여 지원
  • 시청자 지원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 트위터
  • 페이스북

미디어교육 지원

  • 방송통신위원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은 국정과제(59번)로 ‘전국민 생애주기별 미디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 중장년, 노년, 장애인, 다문화 가족, 학교 밖 청소년 등 다양한 상황에 있는 개인단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미디어교육은 ①지역센터 상설교육 ②찾아가는 현장 교육 전용 플랫폼 온라인 교육(미디온등으로 구성됩니다.
미디어교육 진행 구성

구분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상설교육

찾아가는 현장교육

온라인 교육

참여 방법

시청자미디어센터 방문 수강

학교 및 단체 등 교육을 신청한 장소로

직접 찾아가는 미디어 체험 교육

미디어교육 전용 

온라인 플랫폼 '미디온' 강좌 수강 

신청 방법

시청자미디어재단 (https://kcmf.or.kr)

각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미디온 (edu.kcmf.or.kr)

회원가입 및 수강 신청

2022 한눈에 보는 미디어교육 내용 : 1. 이용자 중심 시청자미디어센터. 누구나 격차 없이 미디어를 이해 활용하고 창작할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과 체험, 방송제작 시설 장비 대여, 방송참여 활성화 등 무상 지원. 1)미디어교육: 상설미디어교육, 학교 미디어교육, 미디어체험, 맞춤형미디어교육 등. 2) 장비 시설 대여:장비대여 시설 대관 3)기획행사 및 제작지원:청소년 미디어 페스티벌, 장애인 미디어 축제, 시민제작지원, 미디어 동아리 지원 등. / 2022년도 지역센터별 시설 장비 교육 체험 등 이용현황 1)서울센터:15년 개관. 시설크기 18,315. 장비대여 36,603. 교육 61,673. 체험 4,785. 기타 6,282. 총 127.658. 2)인천센터:14년 개관. 시설 8,319. 장비 36,984. 교육 43,396. 체험 3,160. 기타 512. 총 92.371. 3)세종센터: 20년 개관. 시설 7972. 장비11100. 교육 16609. 체험 2685. 기타 869. 촐 39235. 4)대전센터:14년개관. 시설 12800. 장비:45119. 교육41971. 체험3373. 기타 624. 총 103.887. 5)광주센터: 07년 개관. 시설 22000. 장비 21239. 교육 50007. 체험3174. 기타 7560. 총 103980. 6)강원센터:14년 개관. 시설 5608. 장비 43448. 교육 35835. 체험4802. 기타 826. 총 90519. 7)경기센터:19년개관. 시설 7349. 장비 14003. 교육 43411. 체험 5438. 기타 522. 총 103723. 8)충북센터:20년개관. 시설 11933. 장비 32604. 교육 29403. 체험 2690. 체험 1006. 총 77636. 9)울산센터: 16년 개관. 시설 16712. 장비 41137. 교육 44474. 체험 8776. 기타 489. 총 108588. 10)부산센터 05년 개관. 시설 17245. 장비 47883. 교육 53254. 체험 2505. 기타 4733. 총 125620. / 2. 미디어센터 이용 1)센터방문이 가능한 경우 - 미디어교육. 전국민 생애주기 맞춤형 미디어교육 지원. 2)센터 방문이 어려운 경우 01.찾아가는 미디어버스:미디어접근성이 취약한 지역 및 계층을 대상으로 미디어 격차 해소, 자유학년제 연계 체험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주도적인 진로탐색 지원. 02. 미디인(온라인강의):국민 누구나 회원 가입만 하면 미디온 강의 무료 수강 가능!

                 ※  출처: 방송통신위원회•시청자미디어재단(2022). 「2022 한눈에 보는 미디어교육」 


① 지역 센터 상설교육

-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는 미디어교육 전문강사 활용  정규프로그램을 통해 대상별 맞춤형 미디어 교육을 제공합니다. 

- 시청자의 미디어 활용능력 강화를 위하여 누구나 수강 가능한 대중강좌를 생애주기별단계별매체별 등으로 분류하여 다양하게 제공합니다.

(예) 어린이/시니어를 위한 정보리터러시프리미어프로 입문/활용미디어저작권, 3분 팟캐스트 제작다큐제작메타버스 플랫폼 제작교실 

2025 광주센터 상설미디어교육 연간 일정: 1. 신청방법-(일반/시니어) 시청자미어재단 홈페이지 로그인-지역센터-광주센터-수강신청-열릴강좌(온라인실시간/VOD교육)미디온 사이트에서 수강신청(https://edu.kcmf.or.kr) 2.교육공지 - 매월 10일 다음달 교육공지 / 매월 15일 다음달 교육 수강 신청 가능 3. 선정방법 -신청 후, 별도 연락을 통한 수강생 선발 4.교육문의 - T.062-650-0322 *교육 일정 및 내용은 센터 사정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상세 프로그램 일정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해 주세요. // 일반교육 1) 영상 01.초급. 초보탈출! 영상편집 첫걸음 3월 저녁, 5월 저녁, 7월 저녁, 9월 저녁, 11월 저녁. 02.초급. 초보탈출! 영상제작 첫걸음. 4월 저녁, 6월 저녁, 8월 저녁. 03.중급. 애프터이펙트 정복하기. 12월 저녁. 04.고급.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제작. 10월 저녁. 2) 사진: 01. 초급. 나의 인생샷을 만나다. 4월 저녁, 8월 저녁. 3) 기획: 01.중급. 기본탄탄 평생 써먹는 기획과 구성 3월 저녁, 5월 저녁, 9월 저녁. 02.중급. 미디어비평 이토록 재밌는 영화읽기. 6월 저녁, 11월 저녁. 4) 1인 미디어: 01.초급. 실정강의 조회수 터지는 인기 숏폼 만들기. 4월 저녁, 7월 저녁, 10월 저녁. 02.초급. 뚝딱! 스마트폰 영상 제작. 4월 저녁, 10월 저녁. 5) 신기술: 01.초급. 쉽게 배우는 드론 교실. 5월 낮, 9월 낮. 02.초급.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6월 저녁, 11월 저녁. 03.초급. 코딩과 VR로 새롭게 만드는 영상 명작동화(초, 중) 8월 낮, 12월 낮. 04.초급. 도전 AI로 작가되기(청소년) 이모티콘작가, 웹툰작가 8월 낮, 12월 낮. 6)주말을 알차게/원데이 클래스 01.영상 중급. 프리미어 프로(일반/청년). 6월 주말, 10월 주말. 02.사진 초급. 핵심만 콕콕 작품이 되는 일상 사진. 5월 주말, 9월 주말. 03.신기술 초급. 나만의 굿즈 만들기(스티커제작). 7월 주말, 10월 주말. 04.신기술 초급. AI음악 창작 교실(작사, 작곡). 5월 주말, 8월 주말. 05.신기술 초급. 발표부터 홍보물까지(일반/시니어) 누구나 주목하는(AI활용)PPT 디자인. 4월 주말, 9월 주말 // 시니어교육 1) 미디어봉사단 교육봉사. 01.초급. 시니어 프리미어기초. 4월 낮, 9월 낮. 02.초급. 시니어 스토리텔링. 3월 낮. 03.초급. 시니어 유튜브 스마트폰 활용 교육. 3월 낮, 6월 낮, 8월 낮. 04.초급. 시니어 포토샵. 5월 낮, 9월 낮, 11월 낮. 05.초급. 시니어 나도 삽화가. 4월 낮, 11월 낮. 06.초급. 시니어 드론아 놀자. 7월 낮, 12월 낮. 07.초급. AI로 콘텐츠 제작하기. 5월 낮, 10월 낮. 08.초급. 도전! 나도 사진작가. 5월 낮, 10월 낮. 09.초급. 봉사단 18기 양성교육. 10월 낮, 11월 낮. 10.초급. 영상연하장 만들기. 12월 낮. 12월 낮.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2025 상설미디어교육 

2024년 상설미디어교육 시설장비활용교육 프로그램 연간 일정표 : 1. 교육공지: 전월 10일 (홈페이지 공지사항) 2.신청일정 : 전월 15일~25일 (예시 : 2월 교육 : 1월 10일 고지, 1월 15일 모집 시작) 3.수강승인: 전월 26~28일, 문자메세지로 '수강승인'과 '수강대기'를 안내. 4. 신청방법: 센터 홈페이지-열릴강좌-강좌별 상세보기-신청하기 *신청 시 강좌 상세 페이지의 교육안내 사항을 꼭 확인해 주세요. 내부사정에 따라 일정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매달 강사 일정에 따라 교육 날짜가 달라지오니, 센터 홈페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신청 프로그램 1. 영상 : 01. 영상제작 A부터 Z까지! 1월 평일 오후, 3월 평일 저녁, 5월 평일 오후, 9월 평일 저녁. 02.내가 만든 영상이 TV에 나온다! 다큐멘터리 제작교육 4월 평일 저녁, 8월 평일 저녁. 03.영상편집교육(프리미어) 2월 평일 오후, 6월 평일 저녁, 10월 평일 저녁. 04. 영상편집교육(파이널컷). 3월 평일 저녁, 7월 평일 저녁. / 2. 1인미디어. 01.스마트폰 영상제작 : 스마트폰으로 영상 창작자 되기. 2월 평일 오전, 4월 평일 오푸, 7월 평일 오전. 02.브이로그 제작 과정 : 평범한 일상, 비법한 담론이 되다! 5월 평일 저녁, 9월 평일 저녁. 03. 유튜브 운영과정:영상제작 초보에서 100만 유튜버까지! 6월 평일 저녁, 10월 평일 저녁. / 3.라디오. 01.나도 라디오스타! 팟캐스트&라디오 제작 교육. 3월 평일오후, 5월 평일 저녁, 8월 평일 저녁. 02.내 목소리에 날개를 달다! 스피치 교육. 6월 평일 저녁, 9월 평일 오후. / 4.사진: 01.일상을 더 아름답게 찍는 방법, 사진교육. 4월 평일 오후. 8월 주말. 0.렌즈로 세상을 기록하는 다큐사진교육. 10월 주말. / 5.신기술: 01.버튜버가 되어보자! AI 첫걸음! AI 콘텐츠 제작 초급. 3월 평일 저녁, 8월 평일 저녁. 02.내 작업을 편하게 해주는 AI활용 교육. 4월 평일 저녁, 9월 평일 저녁. 03.나만의 이모티콘 만들기. 10월 평일 저녁. / 6. 기획교육: 01.온가족 미디어교육(방학특집, 가정의 달 특집 미디어교육) 5월 주말, 7월 주말, 12월 주말. 02. 강사대전!(강사님이 직접 기획한 교육에 수강생 15이 모이면 개설) 11월 주말, 12월 주말. / 7.시설 장비 활용 교육. 01.영상기반 시설 활용 교육: 1인미디어스튜디오, 영상제작 스튜디오 - 1월~12월. 02.오디오기반 시설 활용 교육: 종합녹음실, 오픈라디오 슽큐디오. 1월~12월. 03.중급장비활용 교육 2월~12월. * 상기 프로그램의 내용은 센터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신기술 및 기획교육은 미디어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재구성될 수 있습니다. *교육 수료 조건은 80%이상 출석이며, 미수료 시 시청자미디어센터 교육 수강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경남시청자미디어센터] 2024 상설미디어교육

※  위 이미지는 해당 지역센터 상설교육 사례입니다. 지역센터별 상설교육 프로그램은 해당 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찾아가는 현장 교육

미디어교육 전문강사가 초고등학교 및 대학노인장애인다문화가족·복지관 등의 신청에 따라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교육을 제공합니다.

-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직접 이용이 어려운 시청자를 위한 미디어 교육·체험 설비가 탑재된 “찾아가는 미디어 나눔버스를 지원합니다찾아가는 미디어 나눔버스 미디어 체험을 원하는 학교 및 단체는 매년 1~2월 각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 공고 안내문을 참고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찾아가는 현장 교육 - 미디어나눔버스

권역

차량 구분

합계

대형

소형

라디오스튜디오

영상스튜디오

수도권

경기

-

인천

2대

경상권

-

부산

울산

2대

호남권

-

-

광주

1대

중부권

대전

충북

-

2대

강원권

-

강원

-

1대

미디어 나눔버스 사진더빙, 폴리체험, TV체험, 라디오체험, 키오스크 체험 등 초등 중고등 청소년 및 실버 이용 모습

미디어나눔버스 이용 사진


③ 전용 플랫폼 온라인 교육(미디온)

시청자가 비대면 환경에서도 편리하고 손쉽게 무료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 플랫폼 미디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미디온'(kcmf.or.kr)은 인터넷 웹과 모바일 앱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미디어의 이해제작활용 전반에 대해 총 180여개의 다양한 온라인 강좌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디어체험 지원

  • 시청자미디어센터는 시청자가 직접 미디어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미디어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미디어를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을 넘어 창의적여 콘텐츠를 만들어보는 과정으로, 영리단체를 제외한 유아에서 노인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안내. ※ 이 내용은 2023년 울산시청자미디어센터 미디어체험 프로그램 사례입니다.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마다 프로그램이 다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 1. TV  1)초록세상 마법학교: 유아(4~5세) 대상, 크로마키 영상 합성 기법을 활용하여 직접 동요, 전래동화 속으로 들어가 춤추고 노래하며 즐길 수 있는 체험 2)미고의 미디어 탐방기(미고 season1) : 유아(5~7세) 대상.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미디어는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애니메이션과 체험교구를 결합한 유아 대상 놀이형 미디어체험.  3)미고의 미디어 탐방기(미고 season2) : 유아(5~7세) 대상.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미디어는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애니메이션과 체험교구를 결합한 유아 대상 놀이형 미디어체험. 4) 오늘은 NEWS데이 : 초등생 저학년 이상 대상. 뉴스 제작 체험을 통한 아나운서, 기자, 기상캐스터 등 미디어 직업 체험_글쓰기/읽기 가능해야함. 5) 영상자사전_내 인생 최고의 순간 : 중장년층~시니어 대상. 크로마키 영상 합성 기법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영상자서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 - 2. 라디오 1) DJ수다박스:초등생 저학년 이상 대상. 라디오 제작 체험을 통한 DJ. 게스트, 성우 등 미디어 직업 체험. 글쓰기/읽기 가능해야함 2)더빙극장: 초등생 저학년 이상 대상. 성우가 되어 대사가 없는 애니메이션에 더빙을 해볼 수 있는 체험. 글쓰기/읽기 가능해야함. 프로그램 - 3. 스마트폰 1) 찰캌! 애니!(스톱모션): 초등생 저학년 이상 대상. 그림 및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연속촬영 후 편집하여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보는 스톱모션 제작 체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사용 가능해야 함 2)버추얼 크리에이터(AI): 초등생 저학년 이상 대상. AI를 이용하여 나만의 아바타로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되어보는 체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사용 가능해야 함 3)알고리즘 : 초등생 고학년 이상 대상.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광고 키워드 분석을 통해 비판적 정보탐색을 할 수 있는 미디어 신기술 체험. PC나 태블릿PC 사용 가능해야 함 4)빅데이터 : 초등생 고학년 이상 대상. 빅데이터와 광고의 상관관계에 대해 배우고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모아 시각화하는 과정을 배울 수 있는 미디어 신기술 체험. PC나 태블릿PC 사용 가능해야 함

※ 울산시청자미디어센터 미디어체험 프로그램 사례입니다.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마다 프로그램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매일 2~3회 진행됩니다.

미디어체험 신청방법 : 지역 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 신청 방법 - 1.시청자미디어센터 홈페이지 방문--2. 가입 3.미디어체험 강좌 확인 4.체험신청 5.날짜 및 시간 선택 후 신청
미디어체험프로그램 진행 및 참여 모습 사진


마을ㆍ공동체 미디어활동 지원

  • 마을공동체 미디어활동이란, 시청자가 스스로 주체가 되어 미디어를 이해하고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합니다. 
  • 미디어교육 지원을 희망하는 개인단체는 일련의 선정 절차를 거쳐 지역 특성 및 주민 수요에 따른 미디어교육 전문강사 파견제작실습 및 제작활동을 위한 시설장비멘토링 등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마을미디어 콘텐츠 제작역량을 갖춘 지역 마을공동체는 일련의 선정절차를 거쳐 맞춤형 멘토링 지원, 제작완료 콘텐츠에 대한 제작활동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제작활동비는 제작 완료된 영상콘텐츠(편당 최소 5분 이상)와 오디오 콘텐츠(편당 최소 10분 이상)에 대한 이루어지는 콘텐츠 품질 최종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1개 마을공동체(3인 이상당 최대 3편까지 지원됩니다.


마을미디어 콘텐츠 역량 지원 1.매년2~3월 마을 공동체 공모:신청서 접수 및 심사를 통한 선정 2.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강사 파견:지역 특성과 주민 수요 고려 3.시설 장비 멘토링 지원:마을미디어 콘텐츠 제작 지원 4.마을방송 및 공동체 라디오 협력: 마을미디어 활동 지속가능성 확보


     ※ [2025년 마을 미디어교육 지원사업 공모] ← 바로가기 (2025년 마을 미디어교육 지원사업 공모)


방방곡곡마을공동체 미디어활동 지원사업

2023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방방곡곡마을미디어지원사업 포스터. 문의 02-4949-2382

2023년 부산 경남, 제주 지역 마을공동체미디어활동 지원사업

2023 제7회 온마을 미디어 공모전 포스터

2022 방방곡곡마을미디어 교육지원사업 - 충북미디어센터 홍보 포스터






시청자 참여 지원

  •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을 제작한 시청자에게 지급되는 방송채택료의 일부를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지원합니다.

 방송채택료 :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을 편성방영한 방송사가, 해당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을 제작한 시청자에게 지급하는 소정의 비용

방송채택료 지급 절차 - 1.시청자:방송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방송요청 2.방송사업자:선정 및 방송편성, 채택료 지급요청 3. 시청자미디어재단:중복검증 실시, 채택료 지급 승인, 4.방송사업자:채택료 지급 5.시청자:채택료 수령


  •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지원사업 참여를 원하는 방송사는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지원사업 1.신청대상:지상파방송사업자,공동체라디오방송사업자,종합유선방송사업자,위성방송사업자,방송채널사용사업자 2.신청요건: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정기편성, 방송채택료 일부 방송사업자 자체 부담, 운영위원회 3.사업절차:매년 초(1~2월경)시청자미디어재단 공고 참조,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활성화 위원회가 지원 대상 방송사 선정, 방송사가 시청자에게 지급하는 방송채택료 지원


시청자평가원 활동 지원

  • 시청자평가원 제도를 운영하는 방송사가 시청자평가원에게 지급하는 활동비 일부를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지원합니다.
  • 방송사에 소속된 시청자평가원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개최하는 시청자평가원 워크숍 등에 참여하여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시청자평가원 활동지원을 원하는 방송사는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청자평가원 활동 지원 - 신청대상 방송법 제89조에 의한 종합편성 또는 보도전문편성을 행하는 방송사업자로서, 시청자평가원을 선임하여 운영하고 있는 방송사 / 지원절차 - 1. 시청자미디어재단:지원대상 방송사업자 안내 2.방송사업자:제반서류 제출, 지원금 교부신청 3.시청자미디어재단: 회계 교육 4.방송사업자:월별 활동실적 제출 5.시청자미디어재단: 월별 지원금 교부, 회계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