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 지식·정보
- 시청자 권익 보호 제도 안내
- 정책자료
시청자와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정책 자료를 게시합니다.
번호 | 구분 | 연도 | 자료명 | 파일 | 등록일 |
---|---|---|---|---|---|
781 | 통계자료 | 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웹사이트 접근성 실태조사 보고서 | 다운로드 | 2024-01-11 |
내용 |
본 조사는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성 실태를 파악하고, 그 실태를 계량적으로 측정‧평가‧분석함으로써 관련 정책 방향 도출에 필요한 근거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수행하고 있다.
|
||||
782 | 통계자료 | 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202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 다운로드 | 2024-01-10 |
내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수행한 '202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이다.
|
||||
783 | 통계자료 | 2023 | [방송통신위원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 다운로드 | 2024-01-10 |
내용 |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수행한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보고서이다. 이번 조사는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4,633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7,055명을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
784 | 통계자료 | 2022 |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언론수용자 조사 | 다운로드 | 2024-01-10 |
내용 |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2 언론수용자 조사' 보고서이다. 본 조사는 전국의 일반가구 30,138가구 및 가구 내 만 19세 이상 가구원 58,9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022년 조사부터 표본의 규모가 크게 늘고, 조사 설계 자체가 대폭 변경된 관계로 기존 조사 결과와 수치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
||||
785 | 통계자료 | 2019 |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2018 청소년 미디어 수요조사 | 다운로드 | 2024-01-09 |
내용 |
본 보고서는 기술융합시대를 맞이 서울‧수도권 지역 청소년 943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관련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각 청소년 기관에 제공하고 이용자 중심의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
786 | 정책자료 | 2022 | [영국] UK Digital Strategy 2022 | 다운로드 | 2024-01-09 |
내용 |
영국의 '디지털 전략 2022'는 '디지털 전략 2017'의 후속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전략 2017'은 디지털 경제 선도국을 목표로 7개 정책영역(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기술에 대한 국민의 접근 촉진, 디지털기업의 혁신 및 창업지원, 기업의 디지털화, 온라인 안전, 디지털 정부, 데이터전략)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전략 2022'에서는 디지털 분야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4개 정책영역(디지털 기반, 아이디어와 지적재산, 디지털 기술과 재능, 디지털 성장 재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영국 전역의 번영과 세계 선도국 지위 확보를 추구하고 있다.
|
||||
787 | 정책자료 | 2023 | [시청자미디어재단] 2023년 미디어 취약계층 교육 사례집 | 다운로드 | 2024-01-08 |
내용 |
시청자미디어재단은 '소외 없는 디지털‧미디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취약계층의 미디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본 자료는 시청자미디어재단의 2023년 미디어 취약계층(장애인, 노인, 다문화, 소외청소년) 교육사례집이다.
|
||||
788 | 연구보고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지역 격차(KISDI STAT Report, Nov. 30. 2023) | 다운로드 | 2024-01-05 |
내용 |
본 고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토대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비판적 이해 역량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개인적 차원(성별, 연령, 교육, 소득수준 등) 뿐만 아니라 지역적 차원(서울, 경기, 광역/특별자치시, 지역)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지역적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789 | 조사분석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를 통해 살펴본 국내 정보격차 실태 및 특성 | 다운로드 | 2023-11-23 |
내용 |
본고는 방송통신위원회와 KISDI가 정례적으로 수행하는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정보격차 실태 및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패널조사 내 디지털 역량 척도 문항을 바탕으로 잠재집단분석을 수행하여 디지털역량 수준과 응답패턴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활용형'(35.5%), '디지털 생활 활용형'(48.8%), '디지털 소외형'(15.7%) 등 3가지 응답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디지털 소외형에는 여성, 50~60대, 고등학교 졸업 이하,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원 미만, 비수도권 거주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생활 활용형에는 여성, 40대, 대학교 졸업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400~600만원 미만, 수도권 거주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적극 활용형에는 남성, 10~30대, 대학교 졸업 이상, 월평균 가구소득 600만원 이상, 비수도권 거주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뿐만 아니라 개인의 활용 능력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정보격차는 성, 연령, 학력수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
||||
790 | 조사분석서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코로나19 전후 개인 미디어 이용 행태 및 감정 상태 | 다운로드 | 2023-11-23 |
내용 |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미디어 다이어리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전후로 주요 미디어(TV 시청, 신문 기사 읽기, SNS 이용)의 일일 이용 시간에 변화가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에는 모든 주요 미디어의 이용 시간이 증가했으나, 2021년에는 피로도 반영으로 감소하였고, 2022년에는 TV와 SNS의 이용 시간이 감소하고 신문 기사 읽기 시간은 반등했다. 패널 고정효과모형 추정 결과 코로나19 발생 전후로 TV 시청은 73분, 신문 읽기는 7분, SNS는 19분 증가했다. 또한, 응답자의 지난 한 달간 감정 상태와 미디어 이용 시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크기는 미미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그 상관성에 변화가 나타났다.
|